수입맥주 웨팅어(독일 표기법상 외팅어)
1. 연혁
1731년에 바이에른의 소도시 외팅엔에 문을 연 양조장이 직계 기원이다. 1990년대 초반 들어 광고와 중간유통 경로 폐지, 자사 전용 물류 센터 건립, 독일 각지의 양조장 신설/합병, 생산 공정 자동화를 통해 인건비를 절감하고 저렴한 가격에 수준급의 맛을 내는 맥주로 인지도를 얻기 시작했다. 2004년에는 크롬바허를 제치고 독일 판매량 1위로 올라서기도 했다.
외팅어는 거의 모든 종류의 맥주를 생산한다. 무알코올 제품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맥주를 만들 수 있는 이유는 각 지역별로 양조장을 여러 군데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이에른의 외팅엔 본사 양조장 : 지역 대표 맥주인 밀맥주와 헬레스(페일 라거), 켈러비어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의 묀헨글라트바흐 소재 양조장 : 알트비어와 엑스포트
니더작센의 브라운슈바이크에서 5,0 Original 이라는 맥주로 저가 시장에서 경쟁하던 펠트슐뢰스헨 양조장을 인수합병해 자회사로 두고 있기도 하다.
한국의 대형 마트에는 고타 양조장에서 생산된 제품들이 수입되어 팔리고 있다. 가격대는 캔 당 2000원대로 형성되어 있다. 국산 캔맥주와 비슷한 가격. 롯데마트에는 외팅어 맥주가 없다. 대신 외팅어는 아니지만 같은 독일제조사에서 만드는 "L"맥주가 PB 제품으로 판매되고있다.
2. 종류
외팅어 필스너(Oettinger Pilsner) : 필스너 스타일 맥주. 전형적인 독일 필스너의 맛으로서 깔끔하고 쌉쌀한 맛을 가지고 있다.
외팅어 엑스포트(Oettinger Export) : 도르트문트 특산 맥주인 엑스포트 스타일의 맥주. 필스너에 비해 홉향은 적고 맥아향이 강조되어 있어서, 쌉쌀한 맛이 덜한 대신 부드러운 질감을 갖는다.
외팅어 슈퍼포르테(Oettinger Superforte) : 알코올 도수 8.9 %.[1] 복맥주 중에서도 강하고 진한 맛을 자랑한다. 다만 맥주 순수령을 준수하는 대부분의 독일 양조장 답잖게 설탕을 넣어 제조했다는 이유로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타이거나 산미겔, 혹은 포엑스처럼 설탕이나 기타 당류가 첨가된 다른 맥주와는 다르게 맥주에 설탕을 잔뜩 타 놓은 듯한 맛이 강하게 느껴진다.[2] 판매 부진 탓인 지 2015년 이후로는 수입되고 있지 않다.
외팅어 슈바르츠(Oettinger Schwarz): 한국 수입 외팅어 맥주 중에는 가장 늦게 들어온 흑맥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슈바르츠비어의 주산지인 고타에 있는 양조장에서 주로 제조된다. 이 쪽 계통의 본좌라는 쾨스트리처 만큼의 깊이를 느끼기는 힘들지만, 쌉싸름한 홉의 맛과 검게 볶은 맥아의 풍미가 비교적 잘 어우러져 있다.
외팅어 헤페바이스(Oettinger Hefeweiß) : 외팅어 브랜드 내 맥주 중 가장 인기가 많은 맥주. 외팅어의 본거지가 독일 밀맥주의 최대 생산/소비지인 바이에른인 만큼, 효모를 거르지 않는 전통적 방식으로 만든 밀맥주인 헤페바이스도 양조장의 간판 상품으로 팔리고 있다. 국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외팅어 브랜드의 맥주로, 가격이 다른 수입맥주에 비해서 싼 편이다. <출처:나무위키>
' Be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맥주 제조공장 식별 기호 (0) | 2017.03.24 |
---|---|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 후기 (0) | 2017.03.24 |
중국 최초 맥주라는 하얼빈 맥주 (0) | 2017.03.22 |
수입맥주 웨팅어 "Non GMO"마크 가린 이유는? (0) | 2017.03.14 |